티스토리 뷰
구글 검색팁 intitle, allintitle 활용하기 포스팅입니다. 한국에서는 네이버 검색이 대세이긴 하지만 전문적인 검색에 있어서 네이버의 한계도 분명 존재합니다. 그래서 아무래도 전문적인 정보 검색하는 분들은 네이버 포털 보다는 구글 검색을 많이 이용합니다.
그런데, 아무래도 네이버 검색에 익숙해져서 막상 구글 검색, 구글링을 하려고 하면 생소하기도 합니다. 워낙 방대한 자료가 나오다 보니, 원하는 검색 결과 값을 찾기도 처음에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구글 검색팁 활용하기가 필요합니다.
구글 검색 초보자 입장에서 쉬운 구글 검색팁 활용하기 연속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이미 구글 검색 전문적으로 하시는 분들은 다 알고 계시는 내용일 수 있지만, 이제 막 네이버 검색에서 구글 검색으로 넘어 오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개인적으로 구글 검색팁 활용 많이 하는 것이 바로 intitle 그리고 allintitle 입니다. intitle, allintitle 이 연산자를 활용하면 제목을 검색할 때 아주 유용합니다. 내용보다는 제목에 해당 검색어가 들어 있는 어떤 자료를 찾을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해당 검색어가 포함된 내용까지 다 찾아주면 오히려 자료가 너무 방대해서 불편합니다.
그러면, intitle, allintitle 사용법은 무엇일까요? intitle, allintitle 똑같이 콜론 : 쓰고, 뒤에 검색어를 붙여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구글 검색창에 intitle:구글링 이런 식으로 띄어쓰기 하지말고 붙여서 써주면 구글링 이라는 제목의 글들을 찾아주는 것입니다. allintitle 사용법도 똑같습니다.
그러면 intitle, allintitle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allintitle 은 뒤에 오는 단어들이 모두 포함된 제목글을 찾아줍니다. 다시 말해 검색어 전체가 제목에 들어가 있는 자료들을 찾아주는 것입니다. 내용이 아니라 제목만 검색해서 찾아줍니다.
반면 intitle 경우에 뒤에 두개 이상의 단어들을 넣으면 맨 앞에 있는 검색어의 제목 그리고 뒤에 나오는 검색어들이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자료들을 찾아줍니다. 예를 들어 intitle:구글링 활용 이렇게 친다면 구글링 이라는 제목에 활용 이라는 검색어가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자료를 찾아주는 것입니다. 실제로 한번만 해보시면 차이점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이상, 구글 검색팁 intitle, allintitle 활용하기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