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메르스 환자 검사방법 및 초기증상 정리해보겠습니다. 요즘 또 다시 2015년 메르스 환자 공포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확진 환자가 확인되었다는 보도에 다들 놀라셨을텐데, 다행히도 메르스 환자 대처 방식이 2015년과는 달리 빠르게 대응해서 다소 혼란이 덜한 것 같습니다.



이미 한차례 메르스 사태를 겪었기 때문에 메르스 초기증상, 검사방법, 예방법 등 어느 정도 알고 계시겠지만, 메르스 관련 궁금증이 다시 인기 검색어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메르스 환자 주요 감염 경로는 낙타와의 접촉이나 낙타유 섭취로 파악되고 있기 때문에 중동 지역 방문자들은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메르스 환자 검사방법 알아보면, 중동 지역을 다녀온 후에 발열, 콧물, 기침, 가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 바이러스 유전자 진단 검사를 해야 합니다. 유전자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면 바로 격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메르스 초기 증상이 없는 잠복기 중의 환자와 접촉한 경우에는 진단 검사 필요치 않습니다. 메르스 증상이 발생한 환자와 밀접 접촉한 사람에 한해서 접촉일로부터 14일간 자가 격리와 모니터링을 실시하게 됩니다.



메르스 환자 초기증상 정리해 보면, 38도 이상의 고열, 기침, 가래, 호흡 곤란 등이 나타나며, 설사나 구토와 같은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만약 메르스 초기증상 의심된다면 일반 병원을 절대 방문하지 말고 보건소나 질병관리본부 1339 번호로 신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르스 환자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검역에 협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동 지역을 방문하고 입국할 때 건강상태 질문서를 꼼꼼하게 작성하고 모니터링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메르스 환자 의심된다면 일단 외출을 삼가하고 자가 격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메르스 환자 검사방법 관련하여 증상과 발열이 48시간 이상 없으며, 유전자 검사 결과가 24시간 간격으로 2회 음성인 경우에는 퇴원할 수 있다고 합니다. 메르스 공포로 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메르스 의심 환자들의 철저한 관리와 예방이 중요합니다. 이상, 메르스 환자 검사방법 및 초기증상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