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ctf loader 윈도우10 한글입력 안될때 포스팅입니다. 한번쯤 경험해 보셨을텐데...컴퓨터 사용하다가 갑자기 한글 입력이 안되고 영어만 써질 때가 있습니다.
윈도우10 한글입력 안될때 원인이 ctf loader 입니다.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 자동적으로 실행되어야 할 프로세스에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따라서 ctfmon.exe 파일이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ctfmon.exe 파일은 C-windows-system32 폴더 안에 있습니다. 먼저, 이 파일이 정상적으로 잘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ctfmon.exe 파일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하면 됩니다. 1. 윈도우 키와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불러옵니다. 2. 실행 창에 regedit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3.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되면 왼쪽 트리에서 run 폴더를 찾아 이동합니다. 상세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입니다.
4. run 폴더로 이동한 뒤 빈 공간에 마우스 우클릭 새로 만들기 문자열 값 클릭합니다. 문자열 편집 창이 실행되면 값 이름은 ctfmon, 값 데이터는 C₩Windows₩System32₩ctfmon.exe 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이제, 아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시작 프로그램 목록에서 ctf loader 이름을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ctfmon.exe 파일이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된 것입니다.
이상, ctf loader 윈도우10 한글입력 안될때 설정 방법이었습니다.